본문 바로가기
간호사 국가고시 요약 정리

[여성간호학] 자궁 양성종양 및 악성종양 요약 정리

by 펭승이 2023. 1. 20.
728x90
반응형

 

 

 

1. 자궁의 양성종양

 

1) 자궁근종

원인

자궁근종의성장은 에스트로겐에 의존함 > 폐경 이후에 자연적으로 소실할 수 있음

 

종류

-점막하 근종(자궁내막 바로 아래)

-근층내 근종(자궁근종 대부분임)

-장막하 근종(복막 바로 아래)

 

증상

-월경과다, 월결이간이 길어지거나 월경통 발생함

-이물촉지되며 이상 자궁출혈이 발생함

-만성 골반통, 압박감

 

치료

-내과적 치료 방법

*성선자극 호르몬 분비 호르몬 작용제 사용 (GnRH agonist)으로 월경과다를 방지함

 

-외과적 치료 방법

*근종절제술, 레이저 수술, 자궁절제술 등

*호르몬이나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아 비정상적 출혈로 빈혈이 생긴 경우

*비뇨기계 증상이나 수신증을 시사하는 증상이 있을 경우

*자궁 크기가 매우 커서 압박 증상이 나타날 경우

*만성적인 심한 생리통, 성교통, 아랫배 통증이 있을 경우

*불임인 여성에서 자궁근종이 유일한 비정상적인 소견일 경우

 

-근종의 크기가 작고 증상이 없는 경우

*6개월마다 정기검진을 받으면 관찰가능

 

 

 

 

 

2. 자궁의 악성종양

 

1) 자궁내막암

원인

-미산부, 늦은폐경 : 폐경이 늦을 경우 프로게스테론 부족으로 생리주기가 오랜기간 지속되기 때문)

-무배란성 월경에 의한 불임증이나 월경장애(황체 형성 불가로 계속적으로 에스트로겐 자극함)

-프로게스테론 없이 장기간동안 에스트로겐에 자극된 경우 ex. 경구 피임약 지속적 복용 등

-Tamoxifen(유방암치료에 사용되는 antiestrogen으로 인해)

-비만 여성 : 에스트로겐 농도가 높기 때문에

 

병태생리

-자궁내막암의 80%가 선암

 

진단

*조직생검 > 확진 : 90% 이상임

*새포진 검사 > 도말검사 : 35~80% 정도만 진단이 가능함

*구획 소파술 > 자궁내막암의 정확한 파급 정도를 파악 : 자궁경부의 침윤 여부 파악함

 

 

2) 자궁경부암

원인

*처음 성교나이가 16세 이전으로 어린경우, 성 파트너가 많은 경우 발생

*흡연, 인종

*성 전파성 감염의 경우

*인유두종 바이러스(HPV) 등

 

증상

-초기 증상

*증상이 거의 없음

*성교 후 접촉 출혈 발생

*출혈이 있기 전에 담홍색, 핏빛을 딘 분비물 관찰됨

 

진단검사

-세포진 검사(도말검사)

*침윤 전, 초기 암 진단

*자궁경부암 조기발견 위한 정기검사 필요

 

-쉴러 검사

*조직 생검 전에 병소를 정확히 확인함

*요오드 용액의 도포

정상세포 : 적갈색을 보임(정상세포는 글리코겐을 함유하여 요오드와 반응하기 때문)

암세포 : 노란색(암세포는 글리코겐이 없거나 적어서 반응을 하지 않음)

 

-질 확대경 검사

*세포진 검사와 병행 가능

*병변이 보이지 않으며 도말검사상에서 비정상 소견을 보일경우, 3~5% 초산을 경부에 적용 후 질 확대경을 통해 관찰함

(초산용액 적용 후에 흰색으로 변하면 이상소견임)

*의심스러운 부위 규명

*자궁경부의 이상소견의 종류, 정도, 범위를 파악함

 

-월추절제술(=원추생검)

*시술 후 통증이 적고 치유가 빠른 장점이 있음

*냉나이프와 CO2레이저를 이용한 생검 방법임

*일반적으로 진단과 치료를 겸한 목적으로 실시함

 

자궁적출술의 간호

-수술 전 : 직장을 비워 수술 부위의 압력 감소, 수술부위의 청결을 위해 피부 준비

-수술 후 : 방광팽만으로 인한 방광의 외상과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foley cath insert

728x90
반응형

댓글